559 읽음
[탱자나무] 들여다보기 /#0152
출처 : m.blog.naver.com/benignmoon/222292491946
⬛ 탱자나무, 어렸을적 무서운 울타리로 기억속에 있던 나무인데,
➿⭕ 한약방을 하시던 할아버지집에서 탱자열매를 작두로 열심히 썰어댔던 기억이 떠올라 추억돋는다.
➿⭕ 덜익은 열매는 지실로, 노랗게 익은 열매는 지각이라하여 약용한다
⬛ 가_따_한의 152번째 들풀 살펴보기
⬛ 탱자나무
➿⭕ 별명 : Bitter Orange, Trifoliate Orange, 枳(지), 枸橘(구귤), 臭橘(취귤), 탱자
➿⭕ 원산지 : 중국
➿⭕ 분류 : 운향과 / 탱자나무속
➿⭕ 꽃말 : 추억
➿⭕ 꽃은 5월-6월에 피고 백색으로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 1개 또는 2개씩 달린다.
➿⭕ 꽃은 5월-6월에 피고 백색으로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 1개 또는 2개씩 달린다.
➿⭕ 높이 3m까지 자라며, 가지는 약간 편평하며 녹색이고 길이 3-5cm 정도의 굳센 가시가 어긋나기한다.가시와 가지가 녹색이므로 다른 식물과 쉽게 구별된다.
➿⭕ 열매 : 장과는 둥글고 지름 3cm로 표면에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나며, 향기가 좋으나 먹을 수 없다. 종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1-1.3cm이며 황색으로 9-10월에 성숙한다.
➿⭕ 내용출처 : 모야모도감
⬛ 이용방안
➿⭕ 줄기에 매우 강한 가시가 나 있어 방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과수원 생울타리로 최적합한 수종이며, 차폐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묘목은 밀감나무류의 접목용 대목으로 사용한다.

➿⭕ 미성숙 과실은 枸橘(구귤), 根皮는 枳根皮(지근피), 나무껍질의 小片(소편)은 枳茹(지여), 가시는 枸橘刺(구귤자), 잎은 枸橘葉(구귤엽), 성숙 직전의 과실은 枳殼(지각), 종자는 枸橘核(구귤핵)이라 하며 약용한다.

➿➿❇ 枸橘(구귤) - 疏肝(소간), 和胃(화위), 理氣(이기),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胸腹脹滿(흉복창만), 胃痛(위통), 疝氣(산기), 乳房結核(유방결핵), 子宮下垂(자궁하수), 타박상을 치료하고 酒毒(주독)을 해독한다.
➿➿❇ 枳根皮(지근피) - 齒痛(치통), 치질, 혈변을 치료하고 뿌리를 술에 담갔다 달인 즙을 입안에 머금고 있으면 치통을 다스릴 수 있다.
➿➿❇ 枳茹(지여) - 탱자나무의 枝莖(지경) 및 피(皮)는 水脹(수창), 異風(이풍), 骨筋疼痛(골근동통)을 치료한다.
➿➿❇ 枸橘刺(구귤자) - 風蟲齒痛(풍충치통)에 구귤자의 달인 액을 머금고 있다가 뱉아낸다.
➿➿❇ 枸橘葉(구귤엽) - 理氣(이기), 祛風(거풍), 消毒(소독), 散結(산결)의 효능이 있다.
➿➿❇ 枳殼(지각) - 破棄(파기), 行痰(행담), 消積(소적), 散結(산결)의 효능이 있다. 胸膈痰滯(흉격담체), 胸痺(흉비), 脇脹(협창), 食積(식적), 噫氣(희기), 嘔吐(구토), 下痢後重(하리후중), 脫肛(탈항), 子宮脫垂(자궁탈수)를 치료한다.
➿➿❇ 枸橘核(구귤핵) - 腸風下血不止(장풍하혈부지)에 구귤핵, 樗根白皮(저근백피) 각 等量(등량)을 볶아서 가루 내어 1회 3g씩 莢子(급협자)를 달인 액으로 調服(조복)한다.
➿⭕ 출처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탱자나무 #구귤 #지근피 #지여 #구귤자 #구귤엽 #지각 #구귤핵 #지실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