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포그래피란 글자를 만들 수 있는 최소 단위인 활자를 뜻하는 타이프(Type)와 쉽고 편하게 볼 수 있게 하는 기술을 뜻하는 그라피(Graphy)의 합성어 즉, 활자를 가지고 디자인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광고가 등장한 이후 타이포그래피는 서체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분야의 하나로 자리 잡았고, 현재 서체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나는 본문용 타이포그래피로, 책 본문을 위해 만든 타이포그래피입니다. 다른 하나는 광고나 제목에 사용하는 타이포그래피이며, 제목용 타이포그래피라고도 합니다. 제목용 타이포그래피는 책 표지 제목이나 광고 문구같이 시선을 끌기 위해 사용됩니다.[Hersheys - Happiness is...] 젊은 분위기의 타이포그래피를 볼 수 있는 광고모션그래픽 속 타이포그래피도 책과 같이 본문용과 제목용으로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보통 영화 타이틀에 해당하는 영화 제목 영상은 제목용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하고, 영화 타이틀 시퀀스에서 등장인물과 제작진을 소개하는 크레딧은 정보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본문용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하는 것이 그 예입니다.
1. 텍스트로서 타이포그래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모션그래픽은 정보를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정보량을 최대한 적게 구성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만 보여줘야 합니다. 모션그래픽은 움직임이 있는 영상이며 정보가 순식간에 지나가기 때문에 시간을 가지고 볼 수 있는 포스터와는 다른 전달 방법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영상에는 한 번에 많은 정보를 담지 않으며 한 장면에 한 가지 정보만 전달해도 성공한 소통이라 볼 수 있습니다. 모션그래픽 광고 대부분은 정확한 정보를 주기 위한 핵심 부분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광고에서 전달하려는 글과 정보는 광고 중후반부에 등장합니다. 모션그래픽 광고에 등장하는 다양한 정보들은 광고 제품을 보여주기도 하고 캠페인 슬로건을 보여주기도 하며 가격과 같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타이포그래피를 디자인 요소로 사용하기보다는 정보를 잘 전달하기 위해 사용할 경우 책 본문에 사용하는 본문용 서체를 활용하는 것이 더 맞을 수 있습니다.
2. 디자인이 보이는 타이포그래피
모션그래픽이 가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타이포그래피가 항상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타이포그래피는 모션그래픽 이미지 전달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타이포그래피를 선택할 때, 함께 나타날 디자인 요소와 어울리는 타이포그래피를 찾아야 합니다. 디자인 요소와 어울리게 타이포그래피를 변형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주로 정보를 전달하는 용도로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하지만 가독성 위험을 어느 정도 감수하며 이미지에 맞게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Hertog - Stracciatella] 타이포그래피가 잘 어우러진 광고위의 광고 영상은 우유와 초콜릿이 같이 들어가 있는 콘셉트를 전달하기 위해 두 가지 색이 섞인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했습니다. 이 영상에 사용한 타이포그래피는 영상 분위기와 함께 제품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트가 콘셉트인 The Google Story 영상에서는 타이포그래피를 노트에 실제 쓰인 손글씨 느낌으로 표현했습니다. 노트 표지에 쓰여있는 GOOGLE은 다이모를 이용해서 만든 스티커같이 표현하여 노트에 전체적인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3. 작은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한 디자인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을 할 때 타이포그래피를 크게 만들어서 타이포그래피가 가진 형태 일부만으로 이미지화하는 방법도 있지만, 반대로 타이포그래피를 아주 작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타이포그래피를 아주 작게 줄이면 타이포그래피가 가진 시니피에(의미)가 없어집니다. 예를 들어, 신문을 가까이에서 읽으면 글자 하나하나를 읽어서 정보로 인식할 수 있지만, 신문을 멀리서 보면 글은 하나도 안 보이고 전체적인 형태만 보이게 되는 것이죠. 작게 보이는 문자는 내용을 알 수는 없지만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밀한 느낌을 줍니다. 이와 같이 작은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하면 섬세한 디자인을 할 수 있습니다. [New York Times - Turkish Edition] 타이포그래피로 이루어진 도시를 표현한 영상으로, 타이포그래피가 크게 보이는 부분은 마치 건물 간판과 같은 느낌을 주고 작은 타이포그래피들은 문자들이 적혀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만들었습니다.모션그래픽에서는 이러한 점을 이용해 작은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영상 디자인을 만들고 있습니다. 작은 타이포그래피를 모아 멀리서 봤을 때 볼 수 있는 형태를 만들기도 하고, 의미가 작은 내용을 장식 역할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4. 실제와 조화를 이루는 타이포그래피
모션그래픽 작업에서 촬영한 영상과 타이포그래피가 조화를 이루게 만드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타이포그래피는 일반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기 때문에 가독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작업이 진행됩니다. 예를 들어 변형을 하지 않고 단색을 사용하면 색이 일정하여 가독성이 높아집니다. 촬영한 영상은 빛과 그림자로 인해 일정한 색으로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단색 타이포그래피를 영상에 얹힐 경우 서로 이질감이 생기게 됩니다. [Stranger than Fiction 타이틀 시퀀스] 움직임 트래킹으로 영상과 타이포그래피가 조화를 이룬 영상영화 Stranger than Fiction 타이틀 시퀀스는 움직임을 이용해 영상과 타이포그래피를 하나로 만들었습니다. 타이포그래피는 정지된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영상에서의 움직임을 그대로 따라가며 결국 타이포그래피가 실제 공간에 있다고착각하게 됩니다. [Adobe Enterprise] 촬영한 영상에 타이포그래피를 실제 있는 개체로 표현한 영상위 영상에서는 3D 타이포그래피를 단순히 입체로 만든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에 어울리는 개체로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타이포그래피를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가공하면 영상과 어울리는 타이포그래피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5. 입체감 있는 타이포그래피
타이포그래피를 표현할 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가 입체감 있는 3D 타이포그래피를 만드는 것입니다. 3D 타이포그래피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영상이 평면 디자인과는 다르게 공간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통해 담아내는 화면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공간을 촬영하여 입체 형태를 가집니다. 그렇기에 모션그래픽 타이포그래피는 입체적인 느낌으로 많이 표현합니다.[Transformers - Dark of The Moon 타이틀] 기계적인 느낌의 3D 타이포그래피가 있는 시퀀스 영상영상 타이포그래피는 2D 매체에서는 표현하기 힘든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의 트랜스포머(Transformer) 타이틀에서 타이포그래피는 단순히 3D로 만든 것이 아니라 분해되고 기계와 같이 설계되어 3D 타이포그래피를 기반으로 만든 그래픽으로 볼 수 있습니다.
6. 이펙트로 디자인된 타이포그래피
모션그래픽 소프트웨어가 나타난 후 기존 표현 방법을 벗어난 디자인과 새로운 움직임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고, 여러 소프트웨어 기능을 이용해 새로운 타이포그래피가 표현되었습니다. 대표적인 모션그래픽 소프트웨어가 애프터 이펙트입니다. 애프터 이펙트를 이용해 기존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에 사용하던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로는 할 수 없는 다양한 효과를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모션그래픽은 현대 디자인에서 가장 새로운 시각적인 결과물을 만드는 영역입니다. 특히 광고 영상은 매우 많은 예산을 투자하는 영역으로, 항상 새로운 아이디어와 표현 방법을 요구합니다. 그래서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시각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들이고 있으며, 타이포그래피 표현에 있어서도 새로운 결과를 내기 위해 많은 시도가 있었습니다.NGC - Outliers 영상에서는 매우 많은 원 그래픽으로 이루어진 타이포그래피를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보통 그래픽 효과를 만들 때 사용하는 이펙트이지만 타이포그래피에 적용하여 독특한 타이포그래피를 만들었습니다.
7. 손글씨 타이포그래피
현재 대량 생산과 가독성을 이유로 대부분 타이포그래피가 컴퓨터 안에 있는 폰트를 사용해 만들어지지만, 과거 타이포그래피는 손으로 직접 쓴 것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손글씨 타이포그래피는 지금도 많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손으로 쓴 글로 하루를 기록하고, 손으로 쓴 메모를 통해 소통합니다. 그리고 디자인에서도 실제 손으로 쓴 글을 많이 사용합니다.[Dr.Strangelove 타이틀 시퀀스] 영상 위에 손글씨를 배치한 영상Dr.Stragelove 타이틀 시퀀스는 손글씨를 영상에 사용한 최초의 영화 타이틀 시퀀스입니다. 1964년 디자이너 파블로 페로(Fablo Ferro)에 의해 만들어진 영상으로, 물론 이 시기 이전에도 노트나 흰색 판에 글씨를 써서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들이 있었지만, 영상 위에 글을 쓴 것은 없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Dr.Stragelove 타이틀 시퀀스는 영화 타이틀 분야에서 중요한 작업 중 하나로 꼽힙니다.
8. 실제로 만들어진 타이포그래피
모션그래픽은 책이나 포스터 디자인처럼 긴 시간을 보고 생각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닌, 빠르게 소통을 해야 하는 분야입니다. 그래서 모션그래픽 디자인을 할 때 어떻게 해야 짧은 시간 동안 효율적인 소통을 할 수 있을지 많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효율적인 소통 방법 중 하나는 아날로그 감성과 요소를 영상에 가져오는 것입니다. 아날로그 감성을 모션그래픽에 더하면 디지털 영상보다 더 빠른 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아날로그 요소는 사람들이 항상 보던 모습이기 때문에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습니다. 디지털 소재로만 이뤄진 영상은 일상에서 볼 수 없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보는 이가 생소한 느낌을 가질 수 있습니다. 빠른 이해가 필요할 경우 어느 정도 아날로 그적인 감성을 넣는 방법을 찾고, 아날로그적인 소통을 시도할 필요가 있습니다.[Hermes 'Petit h' by Mary Clerte & Edouard Bertrand] 실제 요소를 이용해 타이포그래피를 만든 영상아날로그 감성을 더하는 방법 중 하나가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하는 것으로, 손글씨를 사용하거나 흔히 볼 수 있는 개체를 이용해 타이포그래피를 만드는 것입니다. 현실에서 볼 수 있는 것을 조합하거나 인쇄할 수도 있고, 디지털에서 픽셀 단위로 구성되는 타이포그래피를 재현할 수도 있습니다. [Ford Fiesta - Launch] 실제 사물에 타이포그래피를 인쇄해서 만든 영상아날로그 요소를 이용해 디자인한 타이포그래피를 보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재미있다는 느낌을 갖습니다. 실제 도구로 만든 것인지 컴퓨터로 만든 것인지 궁금증을 갖게 되는 것이죠. 보는 이의 호기심과 궁금증을 이용하는 것은 소통에 좋은 방법입니다.[Standard Chartered - Here for Good] 실제 개체로 타이포그래피를 만든 영상<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l 모션그래픽>과 함께 영상을 시각화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