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8,988 읽음
진짜 일 잘하는 사람은 단순하게 말합니다



이러면 너무 무섭단 말이에요.


① 현황 보고 ② 도움 요청 그리고 ③ 자랑이 세 가지가 있어요.
먼저, 현황 보고. 별거 아닌 거잖아요.
이렇게 일이 진행되고 있다는 걸 말하는 거죠.
그런데 우리는 보고를 시작할 때, 이렇게 말해요.
"상무님, A 프로젝트건 보고하려고 왔습니다. 바쁘세요?"
이런단 말이에요. 그러면 너무 무섭단 거예요. 무슨 공포 영화처럼요.
이렇게 보고하시면 안 되고 안심 첫 문장으로 시작하는 겁니다.

그다음 어떻게 보고하면 될까요?
"오늘 보고드릴 건 이거, 이거, 이거 세 개 덩어리인데요. 첫 번째부터 말씀드릴게요." 이렇게 얘기하면 굉장히 듣는 사람이 안심하면서 듣게 된단 말이에요.
이때, 자랑을 섞는 경우도 있을텐데요.
그럴 땐 어떻게 말하면 좋을까요?


예를 들면 "한 200만 원 정도 예산 초과가 됐어요."라고 말하면 그냥 처음부터 "팀장님, 저희 A 프로젝트 관해서 다 잘 진행되고 있는데요. 200만 원 정도 예산 초과 이슈가 있어서 그거 상의 드리러 왔어요."라고 말하면 벌 거 아닌데
"팀장님, 저희 A 프로젝트 관련해서 문제가 좀 생겼어요."라고 말하고, "무슨 일인데?"라고 말하면 그때서야 "저희가 사실 그 프로젝트 관련돼서 원래 예산이 한 1억 정도 드는 건데 저희가 되게 깎은 거거든요. 그런데..." 이런 식으로 자기 근황을 설명하면서 변명을 시작하는 거예요.

문제를 보고해도 하하 호호 하면서 나오시는 분이 있고 자랑하면서 들어갔는데도 혼나고 나오시는 분들이 있단 말이에요.
근데 이게 '팀장님은 나만 미워해' 이런 게 아니거든요. 너무 무섭게 얘기하면 긴장감과 텐션에 대한 대가를 보고받는 사람이 받게 되서 그렇습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일상의 언어와 일의 언어는 다른데요.
일상의 언어는 낭비가 괜찮아요.
하지만, 일의 언어는 낭비를 하면 안됩니다.
일의 언어는 단순해야 하죠.
평소 일의 언어에 대한 고민을 했다면
이 책을 읽어보세요.
일 잘하는 사람은 단순하게 말합니다


더퀘스트의 신간 소식을 문자로 받아보세요!

네이버홈 책문화판에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