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0 읽음
한국, 음식료품 물가 OECD 2위… ‘밥상 물가’ 어쩌나


코로나 엔데믹 이후로 글로벌 공급망이 악화하면서 국내서도 고물가가 지속됐다. 누적된 고물가에 따른 여파가 최근까지도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새롭게 들어선 정부도 밥상 물가 안정에 고민이 깊은 모양새다.
◇ “체감 물가 안정에 총력 다할 것”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구매력 평가(PPP)를 고려한 물가 수준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식료품·비주류 음료 가격 수준은 지난 2023년 기준 147로 집계됐다. 이는 OECD 평균 100보다 47% 높은 수준이다.
PPP(Purchasing Power Parity)는 각국 통화의 실질 구매력을 기준으로 국가 간 물가 수준 차이를 측정하는 지표로, 실제 각국 국민이 느끼는 체감 물가 수준을 비교하는 데 쓰인다. 해당 지표에 따르면 한국의 음식료품 물가 수준은 OECD 38개국 중 가장 높은 스위스(163) 바로 다음으로 집계됐다. 미국(94)이나 일본(126)보다도 물가가 높은 것이다.
다만 음식료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평균 아래여서 이목이 쏠렸다. 여러 품목을 포괄하는 가계 최종 소비(HFC, Household Final Consumption) 물가는 85로 집계된 것이다. 이외에 교통이나 문화·여가, 주거 물가도 평균보다 낮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27(2020년 기준=100)로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1%대로 떨어진 것은 5개월 만이다. 다만 가공식품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4.1% 상승했다.
이에 따라 최근 새롭게 들어선 정부도 밥상 물가에 관심이 높은 모양새다. 지난 9일 이재명 대통령은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라면 한 봉지에 2,000원이나 한다는데, 진짜냐”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이를 두고 최근 잇따라 가격 인상을 단행했던 식품·유통업계 일각에서는 가격 인하 압박을 하는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제1차관도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해 물가 상황을 점검했다. 이 직무대행은 “물가는 민생의 최우선 과제로 범부처 역량을 총동원해 체감 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할 것이며, 그런 의미에서 취임 이후 물가 상황을 첫 번째로 점검하는 것”이라면서 “지난 수년간 누적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물가 수준이 높고, 먹거리 물가 등은 여전히 높은 상승률이 지속돼 서민・중산층에 큰 부담”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