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8 읽음
해병대, 제4회 해병대사령관배 저격수 경연대회 개최 / 해병대 제공

- 5.26.(월)부터 30.(금)까지 포항 수성사격장에서 전술상황 하 평가사격 실시
- 육·해·공군, 해병대와 미국·필리핀·호주까지 29팀이 참가한 연합·합동 대회
□ 해병대는 5. 26.(월)부터 30.(금)까지 포항 수성사격장에서 육ㆍ해ㆍ공군, 해병대와 미국, 필리핀, 호주 등 총 29개 팀의 저격수들이 참가한 가운데 제4회 해병대사령관배 저격수 경연대회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22년 처음 시작된 본 대회는 ’24년에 미 해병대 저격팀이 참가함으로써 국군 최초의 연합ㆍ합동 저격수 경연대회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올해는 미국 육군 그린베레와 해군 SEAL을 비롯해 필리핀 해병대, 호주 육군 저격팀까지 함께하며 정예 저격수로서 갖춰야 할 능력을 겨루고 있습니다.
* 외국군 참가팀 : 미군 3팀(해병대, 육.그린베레, 해.SEAL), 필리핀 2팀(해병대), 호주 1팀(육군)
□ 평가는 6개의 사격 진지에서 일일 단위 상이하게 부여되는 전술 상황을 극복한 가운데 실시되며, 평가관들은 평가 과목별 난이도와 표적 제압률, 제한시간을 고려해 배점을 구분하고, 점수를 부여합니다. 해병대는 이를 위해 실 지형 기동과 표적식별, 제압사격 등 전 단계의 전술적 행동이 평가될 수 있도록 대회장을 구성했습니다.
□ 1일차 개회식 이후 영점사격을 통해 대회 참가 준비를 마친 29개 팀은 2일차부터 4일차까지 안면 위장과 길리슈트 착용, 개인별 전투하중 25kg 등의 자격 요건을 갖춘 채 스테이지별 평가사격에 임했습니다.
□ 스테이지별 실제 전장에서 발생 가능한 상황(저격수 또는 관측수 사망, 부상으로 인한 오른손 사용 제한, 전자장비 사용 제한 등)과 창문, 지붕, 용치, 드럼통 등의 장애물이 주어졌으며, 참가자들은 이를 극복 후 300~800m 거리에 위치한 표적에 사격을 실시했습니다.
□ 특히, 대회장 내에는 얼굴, 상반신, 측면 등 다양한 형상의 표적이 설치되었으며, 이밖에도 다수의 허위표적이 설치되어 참가자들이 지정된 표적을 식별해내고, 정해진 제압순서를 준수하는 과정에서 전술적인 저격사격 능력이 평가 요소로 작용하기도 했습니다.
□ 미 해병대 23연대 테일러 병장은 “본 대회를 위해 제원 계산과 사격 데이터 확인, 사격 자세를 훈련해왔다.”라며, “정찰 저격수로서 전투력을 보여주고, 공정한 경쟁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좋은 기회이기에 어느 때보다 진지하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해병대는 이번 경연대회 간 우수한 성적을 거둔 4개 팀(최우수 1개, 우수 1개, 장려 2개)을 선발하고, 선발된 팀에게는 5. 30.(금) 예정된 폐회식을 통해 사령관 상장, 상패ㆍ메달, 포상금과 포상휴가가 각각 수여됩니다.
□ 또한 모든 평가사격이 종료되면, 참가자들은 한 자리에 모여 부대별 장비 소개 및 교환사격을 실시하고, 저격수 운용 발전에 대해 토의하는 등 화합행사를 통해 연합·합동 대회의 의미를 더할 예정입니다.
□ 해병대 제1수색대대 김재영 중사는 “해병대 대표라는 책임감과 저격수 직책에 대한 사명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준비하여 대회에 참가 중이다.”라며, “각 군과 각 국의 부대별 대표들로부터 사격기술과 자세에 대해 많이 배우며 성장하고 있음을 느낀다.”라고 참가 소감을 밝혔습니다.
□ 한편, 해병대는 본 대회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해병대 팀 일부를 9월로 예정된 장관배 국제 저격사격 대회에 출전시킬 예정입니다. 또한, 앞으로도 연합·합동 저격수 경연대회를 이어감으로써 각 국가 및 군에서 엄선된 특수부대 및 저격요원 간 저격기술 Know-How 공유와 정예 저격수 양성을 위한 ‘붐’ 조성 기회를 마련해나갈 예정입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