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2 읽음
통신3사 '편의성' 알뜰폰 '가성비'…고객 성향 차이도 뚜렷
디지털투데이
0
[디지털투데이 이진호 기자] 이동통신3사 이용자와 알뜰폰 이용자가 서로 다른 소비 성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신3사 이용자는 편리함에 중점을 둔 반면 알뜰폰 사용자는 가성비를 중시했다.

이동통신 전문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소비자 통신 서비스 이용 성향을 물어본 '이동통신 기획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지난해 9월 14세 이상 휴대폰 이용자 3만32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조사 결과 통신3사 이용자 53%가 요금제를 선택할 때 '최대한 쉽고 편하게' 결정하는 것을 선호했다. 반대로 알뜰폰 이용자 66%는 '시간과 노력을 들여' 요금제를 선택한다고 답했다.

특정 통신사에 대한 종속도에도 차이가 있었다. 결합 할인 혜택을 위해 특정 통신사에 '묶여도 괜찮다'는 응답이 통신3사 이용자는 80%에 달한데 비해 알뜰폰 이용자는 38%에 그쳤다. 알뜰폰 이용자 62%는 결합 혜택이 있어도 특정 통신사에 '묶이고 싶지 않다'고 답했다.
통신 서비스 가치 인식도 달랐다. 통신3사 이용자와 알뜰폰 이용자 모두 '기본제공 데이터' 가치를 가장 크게 평가하고 '통화·문자', '비통신 서비스(멤버십, 데이터 추가, OTT 구독 등의 혜택)'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같았지만 각각 비율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통신3사 이용자는 기본제공 데이터를 50%, 통화·문자를 26%, 비통신 서비스를 24%의 가치가 있다고 본 데 비해 알뜰폰 이용자는 각각 62%, 30%, 8%로 생각했다.

비통신 서비스에 대한 가치 인식 차이는 더 도드라졌다. 통신3사 이용자는 비통신서비스 가치(24%)를 기본제공 데이터(50%)의 절반가량 되는 가치로 생각했다. 반면 알뜰폰 이용자는 단 8%만 차지할 정도로 비통신 서비스 가치를 낮게 평가했다. 가성비를 중시하는 알뜰폰 이용자답게 불필요한 부가 서비스보다는 기본 통신 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에 이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모습이다.

컨슈머인사이트는 "통신3사 이용자는 편의성과 안정성을, 알뜰폰 이용자는 비용 절감과 유연성을 중시하고 있다"며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반이 동일하고 고객 이동이 가능한 동일한 산업 안에 있지만, 마치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처럼 별도로 작동하는 특성이 엿보인다"고 분석했다.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