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9 읽음
여론조사의 '과표집' 논란 왜 생길까? ... 선거전문가의 족집게 해설


하지만 과표집에는 일정한 경향성이 나타난다.
대통령 지지율이 높으면 정권 성향 따라 진보, 보수 비율이 높아진다.
그러다 정권 위기가 오거나 정치적 상황이 변하면 상대가 높아지기보다 일단 중도가 높아진다.
문재인 정권 때 진보가 월등히 높았다가 정권 위기가 오면서 중도가 높아졌다.
윤석열 정권 출범과 지방선거 때 보수가 높아졌다가 이태원 참사,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 후 중도가 높아졌다.
결국 중도층이 상황에 따라 보수와 진보를 오가는 걸로 보는 게 합리적 판단으로 보인다.
과표집이 아니라 정치 상황에 따른 자연스런 현상이라는 것이다.
물론 전화면접과 ARS는 좀 다르다 본다. ARS가 쏠림 현상이 좀 더 과격할 것으로 추측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 글에서 설명하겠다.
보수는 최대 33까지 올라가고 진보는 최대 39까지 올라간다. 진보 쪽 구심력이 훨씬 높은 것으로 보인다.
표본수가 1,000명 살짝 넘는 여론조사가 포함돼 있어서 합이 100을 살짝 넘는 경우도 있다.
#과표집, #여론조사, #지지율, #국민의힘, #윤석열, #민주당, #문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