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9 읽음
[기자수첩] 경영관리팀만 살찌우는 지역(단위)농협 변화 ‘필요’
퍼블릭뉴스
0
지역농협은 단위농업협동조합이라 불리며 은행 업무(신용경제사업부분), 하나로마트(로컬마트), 주유소, 농자재종합유통센터, 산지유통센터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지역농협 설립 배경은 농민을 대상으로 조합을 구성한 자주적인 조직으로 경제적 약자인 농민이 서로 협동해 사회 경제적 이익을 얻으려 함에 있다. 은행 및 로컬마트가 각 동이나 지방의 경우 읍·면소재지까지 다수의 지점을 설치해 중심 상권은 물론 골목상권까지 장악하고 있다.

때문에 이를 이용하는 고객은 조합원보다는 준 조합원이거나 일반 고객이 대다수이다.

대도시일수록 손익에 기여하는 일반고객과 준 조합원의 비율이 8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사회적 협의도 필요한 시점이다.

조합원이나 인근 농가의 생산물을 파는 마트로 시작은 했으나, 현재는 수입 농수산물은 물론 수입 주류, 소비재까지 취급하는 대형 쇼핑몰로 치닫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익이 많은 배경에는 농민을 위해 설립된 조합이기에 소비자로 하여금 농민을 돕고 있고 믿을 만하다는 신뢰가 바탕에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신뢰에 반하는 탈불법이 수시로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첫째, 조합원과 공동 발전보다는 조합장을 비롯해 경영관리팀에 과도한 권력과 높은 임금을 받는 일자리 인사권이 몰려있는 상황이다.

둘째, 농협의 설립 취지에 어긋나게 주력 사업이 은행업이나 로컬마트로 변했고, 이는 농민과는 전혀 상관이 없이 오히려 농민 상대 돈놀이판이라는 지적이 나온 지는 꽤 오래다.

셋째, 농협조합원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에서는 많은 보조와 함께 환원 사업에 면세의 혜택을 주고 있다.

그중 지도사업비가 가장 비중이 크다.

지도사업비는 생산지도비, 의료 지원비, 영농 자재 지원비, 등의 영농 지도 비를 비롯해 생활지도비, 교육비, 보급 선전비, 조사연구비 복지지원비의 항목으로 나누어지고 유통지원비, 재해지원비, 특색사업지원비 등의 환원사업비 등으로 구성됐다

그런데 이러한 환원 사업이 목적과 다르게 선심성 용돈 형태로 유용해 언론의 뭇매를 맞는 일이 수시로 일어나고 있다.

목적과 다른게 유용한 지출은 조세포탈과 기부행위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오늘날 협동조합은 상생의 꽃, 평등의 기초위에 보편적인 기업을 이룰 수 있는 양극화의 대안이라 불린다.

농업 협동조합의 바른 모델로는 선키스트, 폰테라, 웰치스, 제스프리가 혁신을 이뤘다.

세계가 부러워하는 경제 복지국가 주 모델인 북유럽이나 스위스, 독일의 사회민주주의 이념의 바탕도 협동조합과 궤를 같이한다.

한국의 농업협동조합의 설립이념과 궁극적인 목표는 어디에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