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8 읽음
31일 임시공휴일 지정 불발…27일 임시공휴일 확정, 최장 9일 쉰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내수 침체 장기화로 민생 경제 어려움이 가중하고, 고용 사정도 녹록지 않아 매우 송구스러운 마음"이라며 "정부는 더욱 간절한 마음으로 반전의 모멘텀을 만들어 내야 하며, 특히 설 명절을 민생경제 회복의 확실한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국민들은 25∼26일 주말부터 시작해 27일 임시공휴일, 28∼30일 설 연휴까지 총 6일간의 연휴를 보내게 됐다. 최 권한대행은 "국민들께서 모처럼 긴 연휴 기간 충분한 재충전 시간을 갖고, 국내 여행과 착한 소비 활동 등을 통해 내수를 살리고 상생 분위기를 만드는 데 적극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부의 이번 결정 과정에서는 금요일인 31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가중과 월말 업무를 마감해야 하는 근로자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하지만 정부는 여러 현실적 요인을 고려해 27일을 선택했다. 우선 월말인 31일에는 결제 마감과 정산이 필수적인 업종이 많아 근로자들의 출근이 불가피하다는 점이 고려됐다. 또 귀성길 교통 분산 효과도 중요한 요인이었다. 월요일인 27일에 쉬는 게 금요일인 31일에 쉬는 것보다 교통 분산 효과가 크다는 데 무게가 쏠렸다.
또 음식점이나 수출 물류업 등 토요일에도 일해야 하는 업종의 경우, 31일 휴일 지정 시 4일 연휴만 가능하지만, 27일로 지정하면 5일간의 연휴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도 이번 결정에 힘을 실었다.
정부 관계자는 "이미 발표된 사안인 만큼 KTX 예매, 여행 계획 등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을 확정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과거 사례를 보면 설 연휴 기간 임시공휴일 지정은 소매판매 증가로 이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이번처럼 최장 9일까지 연휴가 길어질 경우 소비진작 효과가 다음 달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반면 조업일수 감소로 인한 생산과 수출 감소 우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