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2 읽음
서브컬처 신작 리:메멘토, 주무기는 턴제 전투


이후 2024 플레이엑스포에서 PV 영상을 공개하며 기대감을 끌어올렸으나, 그 외에는 공개된 정보가 적어 아쉬움을 샀다. 그러던 중 4일, 블랙스톰 본사에서 열린 미디어 인터뷰에서 리:메멘토의 상세 정보와 운영 방향성에 대해 들어볼 수 있었다. 이 날 인터뷰에는 블랙스톰 김도윤 대표를 비롯해 허권 본부장, 신지훈 사업본부 팀장, 이진수 아트 디렉터(AD)가 자리했다.
우선 리:메멘토는 신들의 기억을 가진 자들이 되돌아온 마녀에 맞서는 이야기를 담았다. 전반적으로 아포칼립스 느낌의 어두운 분위기를 가지고 있으며, 카툰 랜더링을 기반으로 한 100여 개 이상의 시네마틱 컷씬과 풀더빙 보이스로 이를 그려냈다.

나아가 허권 본부장은 간단하면서도 깊이 있는 전략성을 리:메멘토의 강점으로 내세웠다. 게임 내 캐릭터는 1개의 스킬만을 보유한다. 스킬 사용에 필요한 자원도 ‘에센스’라는 공용 자원으로 통합하여, 플레이어가 알아야 할 정보량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진입 장벽을 낮췄다.
대신 스킬에 에센스를 얼마나 많이 사용하냐에 따라 수치가 올라가거나 아예 효과가 달라지도록 설계하여, 이를 활용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대해 허권 본부장은 “파이널 판타지, 드래곤 퀘스트 등 JRPG 원류가 가진 감성과 턴제 RPG의 전략성에 초점을 맞췄다”고 전했다. 여기에 “시스템이 많거나 복잡하다고 해서 전략성이 올라가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캐릭터를 이용하고, 파티 구성과 스킬 사용에 따라 다양한 전략을 가져가게끔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Q. 굳이 JRPG와 턴제 RPG라는 장르를 선택한 이유가 궁금하다.
Q. 원신, 붕괴: 스타레일과 많이 비교가 되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과 비교해서 리:메멘토가 가지고 있는 차별점은 무엇인가?
Q. 프로젝트 NB때와 비교하면 캐릭터 모델링이나 색감이 좋아진 것 같다. 기술적으로 바뀐 부분이나 신경 쓴 부분이 있는가?

Q. 이전 인터뷰에서 PvP 등 경쟁형 콘텐츠를 최대한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다보니 P2W(Pay-to-Win)이 관건으로 떠오르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계획인가?
Q. 서브컬처 유저는 PvP에 회의적인 경우가 많다. 특히 PvP에 성장 요소가 연계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Q. 올해 4분기 출시라고 했는데, 출시 전 테스트를 통해 유저 피드백을 받을 계획이 있는가?
Q. 출시 이후에는 어떤 게임이 되었으면 하는지 듣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