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 = '강남구청'다들 한 번쯤은 ‘싱크홀’과 ‘포트홀’에 대해 들어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최근 들어 자주 들리는 싱크홀 사고, 만약 내가 운전 중인 도로에 싱크홀이 발생했다고 상상해 보라. 상상만 해도 끔찍할 것이다.싱크홀 사고와 포트홀 사고는 생각보다 빈번히 발생한다고 한다. 그리고 장마철엔 그 빈도가 훨씬 잦아진다는데, 과연 이와 같은 현상들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 이번 시간엔 싱크홀과 이와 비슷한 개념인 포트홀, 그리고 관련된 사고 대처 방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의외로 잦은 싱크홀 사고 피하려다 2차 사고까지?
사진 출처 = '뉴스1'사진 출처 = '뉴스1'12일 오전 10시 45분쯤, 서울 도심 강남 한복판인 지하철 9호선 언주역 8번 출구 앞 봉은사로에서 지름 1m, 깊이 3m가량의 싱크홀 즉, 땅 꺼짐 현상이 발생했다. 도로를 지나던 사다리차 바퀴가 구멍에 빠졌으나, 이후 자력으로 빠져나와 다행히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또 지난달 31일, 경북 경주시의 왕복 4차로 도로에서 싱크홀을 피하려다 3중 추돌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경북소방안전본부는 운전자들이 너비 2m, 깊이 2m가량의 싱크홀을 피하려다 추돌하는 사고가 났다고 전했다. 또한 해당 사고의 싱크홀은 도로 아래에 있는 낡은 용수관이 함몰되며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싱크홀 그리고 포트홀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
사진 출처 = '뉴스1'사진 출처 = 유튜브 'SBS뉴스'‘싱크홀’은 보통 지하수가 빠져나가거나 지반 위의 힘을 이기지 못하고 땅이 주저앉는 현상을 말한다. 싱크홀은 주로 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하지만,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 등 인간의 활동으로도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선 무분별한 도시 개발을 자제하고, 도시 주요 지역에서 지하수의 흐름을 늘 예의주시해야 한다.‘포트홀’은 도로의 표면에 생긴 균열에 물이 스며들어 생긴 국부적인 구멍으로, 지하수가 원인인 싱크홀과 발생 원인이 전혀 다르다. 또한 포트홀은 생긴 후, 서서히 커지는 것이며 갑자기 구멍이 뚫려버리는 싱크홀보다는 규모나 위험도가 작다. 아스팔트 도로의 표면이 파손되고 내려가는 현상으로, 만약 차량이 포트홀을 지나간다면, 타이어의 옆면이 부풀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며, 타이어나 휠의 파손, 변형, 공기압 손실 등이 생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