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2 읽음
‘1947 보스톤’, 마라톤이 주는 ‘쾌감’이 이런 거구나 [솔직리뷰]
MK스포츠
1
‘1947 보스톤’, 9월 27일 개봉

1947년 태극마크를 달고 달렸던 마라토너들의 여정

태극마크를 단 서윤복 선수가 피, 땀, 눈물이 섞인 레이스 끝에 국제 마라톤 대회 결승선을 통과한 순간의 감동은 짜릿함 그 이상이었다. 이미 알고 보는 마라톤 이야기이었지만, 영화를 집중하게끔 만드는 힘은 달랐다. 광복 이후, 손기정 감독과 남승룡 코치, 서윤복 선수의 여정을 담은 영화 ‘1947 보스톤’이다.

손기정·남승룡·서윤복, 뜻을 모아 달리다
영화 ‘1947 보스톤’이 상영 중이다. 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 ㈜콘텐츠지오
영화 ‘1947 보스톤’이 상영 중이다. 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 ㈜콘텐츠지오

영화 ‘1947 보스톤’은 1947년 광복 후 처음으로 태극마크를 달고 국제대회에 출전하기 위한 마라토너들의 도전과 가슴 벅찬 여정을 그린 이야기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세계 신기록을 세운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손기정은 기미가요가 울려 퍼지는 시상대에서 화분으로 가슴에 단 일장기를 가렸다 하루아침에 민족의 영웅에서 일제의 탄압으로 더이상 달릴 수 없게 됐다.

광복 이후 1947년 서울, 제2의 손기정으로 촉망받는 서윤복에게 손기정이 나타나고 밑도 끝도 없이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 나가자는 제안을 건넨다. 일본에 귀속된 베를린 올림픽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처음으로 태극마크를 가슴에 새기고 달려 보자는 뜻은 그에게도 닿았고, 손기정 감독과 남승룡 코치, 서윤복 선수는 그 마음을 모아 피, 땀, 눈물을 흘리며 긴 레이스를 위한 준비에 나선다.

준비 과정에는 우여곡절도 있었다. 하지만 뜨겁게 달아올랐던 마음과 목표는 같았기에 세 사람은 결국 미국 보스톤으로 향한다. 대회에 앞서 또 한 번의 위기가 있었다. 극적으로 이를 해결하게 된 세 사람은 태극마크를 처음으로 달고, ‘대한민국’이 기록되는 최초의 도전을 시작한다.

하정우·임시완의 연기 레이스, 그리고 배성우
영화 ‘1947 보스톤’이 27일 개봉했다. 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 ㈜콘텐츠지오
영화 ‘1947 보스톤’이 27일 개봉했다. 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 ㈜콘텐츠지오

극중 하정우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1947년 보스턴의 기적을 이끄는 손기정 감독 역을 맡았다. 임시완은 제2의 손기정을 꿈꾸는 불굴의 마라토너이자 1947년 보스턴 마라톤 대회 국가대표 서윤복으로 분했다.

극중 손기정과 서윤복은 전혀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부딪히는 경우도 많았고, ‘과연 이렇게 해서 두 사람이 여정을 같이 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도 든다. 차갑고 뜨거운 냉온(冷溫)의 온도로 표현한다면 점점 두 사람의 온도가 가까워지면서 보여주는 시너지는 더 강렬하게 다가왔다.

하정우와 임시완은 이 같은 캐릭터를 완벽하게 표현해냈다. 때로는 더 뜨거웠고, 냉정했다. 손기정으로 분한 하정우는 해방된 조국에서 태극마크를 달고 출전하는 첫 국제 대회인 1947년 보스턴 마라톤 대회에서 감독 명찰을 달고 서윤복을 이끌며 빼앗긴 영광을 되찾기 위한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1940년대의 마라토너로 완벽 변신하기 위해 실제 선수들의 훈련량 6~70%를 소화하며 체지방을 6%까지 낮췄던 임시완은 다부진 체구에 깡과 악으로 달리는 서윤복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마라톤 대회 출전을 결심한 뒤, 변하는 눈빛은 강렬한 인상을 남기기 충분하다.

다만 영화 ‘1947 보스톤’에는 큰 리스크가 하나 있었다. 음주운전 물의를 일으켰던 배우 배성우의 출연이다. 손기정과 서윤복을 서포트하는 페이스메이커 남승룡 역을 맡았던 배성우는 극중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 배성우의 잘못은 확실하지만 작품의 주 이야기인 손기정, 서윤복, 남승룡의 업적이 변형되거나 축소되면 안 된다는 생각에 강제규 감독은 고민 끝에 배성우를 편집을 하지 않았다. 때문에 큰 스크린으로 보는 배성우의 모습이 불편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어쩌다 보니, 같이 뛰고 있네?
영화 ‘1947 보스톤’이 추석 극장가에 상륙했다. 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 ㈜콘텐츠지오
영화 ‘1947 보스톤’이 추석 극장가에 상륙했다. 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 ㈜콘텐츠지오

보스턴 마라톤 대회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서 매년 4월에 개최되는 세계적인 마라톤 대회다. 1897년에 제1회 대회가 열렸고 올림픽 경기 대회 다음으로 오래됐다. 한국은 손기정 감독의 지도 아래 1947년 서윤복 선수가 세계 신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고, 1950년에는 함기용, 송길윤, 최윤칠 선수가 나란히 1~3위로 세계를 제패했으며 2001년 이봉주 선수가 케냐의 11연패를 저지하고 우승을 기록했다.

이미 알려진 이야기이고, 유명한 실화이기 때문에 작품이 지루하게 다가오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었다. 영화는 마라톤과 비슷했다. 곳곳에 위트 넘치는 장면으로 페이스를 조절하며 보스턴으로 향하는 여정을 이끈다. 손기정, 남승룡, 서윤복이 보스턴 땅을 밟으면서부터는 점차적으로 속도를 올리듯, 긴장감을 높이는 장면들로 자연스럽게 마라톤 대회에 빠져들게 만든다. 서윤복이 막판 스퍼트를 올리고 결승선을 통과하는 그 순간에서는 마치 실제 경기를 관람하는 듯 모두를 숨죽이게 만든다. 실화 바탕 영화라면 이미 알고 있는 이야기에 몰입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1947 보스톤’은 이 같은 우려를 완벽하게 씻어내며 시원하게 결승선을 통과해낸다.

강제규 감독은 “과거 이야기 굳이 들출 필요가 있나 하지만, 역사 속에 담겨진 소중한 이야기와 훌륭한 분들이 많다. 그런 걸 보면서 우리가 잘 살아가고 있나, 내 스스로를 점검해보는 시간들을, 무심할 수도 있고 관심 없을 수도 있지만 보스톤이 젊은 관객들에게 과거를 돌아보는 게 내 인생을 돌아보는 거에 가끔은 힘이 되고 도움이 된다는 걸 이해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어 “처음부터 중요하다, 잘 표현 해야한 게 무악재와 하트브레이커 언덕이었다. 과연 주인공이 어떤 마음과 어떤 마음가짐으로 달리는가, 어린 시절의 엄마 때문에 밥 훔쳐 먹던 무악재 고개가 하트브레이커 언덕과 어떻게 만날 것인가. 실제로 언덕에서 추월해서 1등을 한 상황이 벌어진다. 이 연결선이 서윤복의 드라마이기도 하다. 잘 전달됐으면 했다”고 덧붙였다.

손진아 MK스포츠 기자(jinaaa@mkculture.com)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