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2 읽음
"주변에서 현대차 산다면 말리세요" 충격적인 녹취록 유출




최근 현대차에서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신차 결함을 겪은 차주들은 하나같이 입을 모아 "결함보다 제조사의 대응에 속 터진다"라는 반응들을 보이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불친절한 서비스센터의 대응 방식이 화두가 되고 있는데, 오늘 소개할 신형 쏘나타 차주의 사연도 여기에 포함된다. 오늘 오토포스트 시선집중은 블랙박스에 녹취된 현대차 서비스센터 직원들의 소름 돋는 발언 이야기에 한 걸음 더 들어가 본다.


신차 구매 후
심한 엔진 진동으로
골머리를 앓은 차주의 사연
그는 서비스센터를 방문하여 문제를 해결해보려 다양한 방법을 시도했지만, 센터에서 돌아온 답변은 "문제가 없다", "정상이다"라는 말뿐이었다. 그러다 결국 문제를 인정받아 엔진을 교체하는 등의 후속 조치가 진행되었음에도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2019년 8월 서브 엔진 교체
2020년 1월 토탈 엔진 교체
7개월 만에 엔진 교체만 2번
그러나 이후에도 소음은 없어지지 않았고, 결국 2020년 1월 엔진 전체를 교환하는 조치를 취했다. 차를 구매한지 불과 7개월 만에 엔진 교체만 2번을 받은 것이다. 출고한 지 1년도 되지 않은 새 차가 엔진 교환이 두 번이라니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납득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엔진 교체 이후에도
동일 증상이 반복되어
레몬법 중재 신청을 진행했다
아직 차를 구매한지 1년이 지나지 않았으며, 중대 하자라고 할 수 있는 엔진 교환을 2번이나 진행했고, 주행거리 역시 2만 km를 넘지 않아 레몬법 중재 대상에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차주로써는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문제를 해결하려 한 것이다.


2020년 2월
정상이라는 최종 판정으로
소비자는 어떠한 보상도 받지 못했다
결국 레몬법을 적용받을 수 없다는 판결 끝에 기각이 된 것이다. 소비자 입장에선 서비스센터에서 엔진을 두 번이나 교환받고도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으나, 이것이 중대하자로 인정받지 못했으니 그저 답답한 마음일 수밖에 없다.

레몬법 중재 위원장이
블루핸즈 공업사 대표라는
사실도 밝혀져 논란이 불거졌다
해당 소식이 전해지자 네티즌들은 "레몬법 중재 위원장이 현직 현대차 정비소 사장이라니 이게 말이 되냐", "현대차 결함으로 레몬법을 적용받을 수 있을 리가 없다", "저 위원장은 어떻게 선출된 것인지 정확하게 밝혀내야 한다", "이러니까 현대차 공화국이라고 하는 거다"라는 등의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타이어 소음이라는
제조사의 주장에
모든 걸 교체했지만 소음은 더 심해졌다
이에 차주는 곧바로 순정 휠 타이어로 교체를 진행했으며, 당연히 소음은 여전히 존재했다. 그는 타이어 업체에서 "멀쩡한 타이어를 왜 바꾸려고 하시냐"라는 말까지 들어가면서 4번이나 타이어를 교체했다. 그러는 와중에 소음은 점점 더 심해져 갔다.


"타이어 소음이 아닌 거 같다"
엔지니어들도 문제를
확실하게 인지했다
결국 둘은 스스로 "타이어 소음이 아닌 거 같다"라며 차에 무언가 문제가 있음을 인정한 것이다. 그러면서 이어진 둘의 대화는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잘 얘기해서 보냅시다"
문제를 인지했음에도
해결할 의지 자체가 없어 보였다
해당 내용을 확인한 차주는 답답함을 토로할 수밖에 없었다. 명백히 차량에 문제가 있음을 제조사 서비스센터 측에서도 인정하였으나 "해결해 줄 수 없다", "정상이다"라는 일관적인 답변만을 내놓고 있으니 말이다.

차주는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 해결을 시도했으나
결국 나아진 건 없었다
그는 고속도로 휴게소 같은 곳에서도 같은 차를 만나면 다른 차주에게 양해를 구해고 소리를 비교해 보는 등 다양한 행보를 이어갔다. 같은 차를 타는 다른 차주들 역시 차에 문제가 있는 거 같다고 인정했음에도 제조사만이 이 문제를 인정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차주는 소송도 고려했으나
현실적으론 불가능했다
여기에 법과 제도를 이용하여 민사 소송을 진행하자니 일반인이 대기업을 이기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결국 차주는 아무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차를 계속 타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적용 사례가 등장했지만
여전히 실효성 논란이 계속되는
한국형 레몬법
그럼에도 여전히 한국형 레몬법 실효성은 논란의 늪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수입차와 국산차에 서로 다른 기준을 적용한 게 아니냐"라는 논란부터 "국산차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결함들은 왜 외면하고 있는 것이냐"라는 불만 섞인 소비자들의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형 레몬법은 차에 하자가 발생한 내용 역시 제조사가 아닌 소비자가 입증해야 하기에 "반쪽짜리 레몬법"이라는 비판을 피해 가기 어려울 전망이다.

자기 일이 아니라면
그냥 남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인식의 변화가 절실하다
결함으로 피해를 겪고 있는 소비자들은 입을 모아 현실을 바꿔보려고 노력하지만 여전히 대중들의 관심은 부족한 상황. 소비자들이 진정한 권리를 찾기 위해선 모두가 한마음이 되어 움직일 필요가 있다. 그냥 남의 문제라고 생각하는 인식의 변화가 절실한 시점이다. 오토포스트 시선집중이었다.
오토포스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Copyright by 오토포스트 Co., LtdAll Rights Reserved